전체 글138 예비창업/초기창업 지원사업 심사, 심사위원은 어떤 생각을 갖고 평가할까? 오늘도 오랜만에 모 공공기관 사업화 지원사업 서면심사를 참석했다. 총 400여 개가 넘는 팀이 지원해서 1차 서류평가를 3일에 걸쳐 진행했는데, 그 중 하루를 나는 참석한 것이다. 대략 5~6시간에 걸쳐 140여 개의 지원서를 평가한 것 같다. 여기서 한 30여 개 팀이 1차로 추려지고 3일 동안 추려진 팀들을 대상으로 최종 서류평가 통과 기업이 결정돼 통보될 것이다. 오랜만에 창업 지원사업 서류심사를 참여하다보니 옛날 생각도 나고, 확실히 잘 읽히고, 후한 점수를 주는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이 나뉘다보니 이를 기록으로 좀 남겨야겠다는 생각으로 포스팅을 정리했다. 참고로 본 포스팅은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 의견이며 다른 지원사업들의 평가는 이와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필자가 생각하는 바가.. 2020. 4. 28. <블리츠스케일링> 폭발적인 확장이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먼저 수립하라! 일반적으로 스타트업이 겪는 성장단계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잠재 고객이 지니고 있는 문제와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제품/서비스가 그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는지 문제-해결책 궁합(Problem-Solution Fit)이다. 두 번째는 우리 제품/서비스가 고객에게 선택되고 계속 이용됨으로써 시장에 적합한 상품인지 아닌지를 검증하는 제품-시장 궁합(Product-Market Fit)이다. 마지막 단계는 시장에서 검증된 제품/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확장하는 단계인 스케일업(Scale up)이다. Problem-Solution Fit 단계의 선지자는 단연 린 스타트업 방법론을 창시한 에릭 리스와 그에게 영향을 줬던 사람, 그리고 도구들이다. Product-Market Fit 단계의 선지자는 넷스케이프.. 2020. 4. 22. <제로 투 원>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주는 시대를 관통하는 교훈 일론 머스크(테슬라, 스페이스X, 솔라시티 창업자), 리드 호프만(링크드인 창업자), 스티브 첸(유튜브 창업자)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먼저 떠오르는 것은 실리콘밸리에서 내노라하는 스타트업을 창업한 것 뿐만 아니라 성공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또 하나 공통점은 바로 이들은 '페이팔 마피아'라는 점이다. 페이팔 마피아는 페이팔에서 나와 창업한 전문가들이 미국 실리콘밸리를 주도하는 그룹으로 성장하면서 등장한 용어다. 그리고 이런 페이팔 마피아 중에 피터 틸(Peter Thiel)이라는 사람이 있다. 피터 틸 또한 초기 페이팔 투자와 함께 깊숙하게 참여했으며 이후 Founders Fund, Palantir와 같은 VC와 스타트업을 설립하고 운영한다. 이렇게 실리콘밸리에서 성공적으로 창업에 성공한 피터 틸이.. 2020. 4. 17. 린 캔버스 (Lean Canvas) 1. 프레임워크 소개 린 캔버스는 에릭 리스(Eric Ries)가 창안한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에 입각하여 빠르게 스타트업을 할 수 있는 여러 방법론 중 가장 각광 받고 있는 'Running Lean'을 출간한 애쉬 모리아(Ash Maurya)에 의해 만들어진 일종의 비즈니스 모델 개요를 정리하는 프레임워크다. 애시 모리아는 린 스타트업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본인의 블로그에 정리하면서 사람들로부터 방법론을 한데 모아 책으로 출간해달라는 요청을 종종 받았다고 한다. 이에 책 출간자체도 원고를 모두 써놓고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사람들이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 관한 자신의 책을 원하는지, 그리고 어떤 내용의 책을 원하는지를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 입각해서 고객을 발굴.. 2020. 4. 16.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ost Structure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비용구조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비용구조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는 데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 비용구조는 우리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전달하는데 소요되는 자원, 활동, 파트너십을 소유하고 수행하는데 들어가는 전체 비용이다. 기본적으로 비용은 적게 쓰면 적게 쓸수록 좋겠지만, 특히 낮은 비용구조가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 세계적인 경영구루 마이클 포터의 경쟁이론에 따르면, 자사의 경쟁우위를 기반으로 취할 수 있는 전략에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는데 바로 차별화(Differentiation) 전략, 원가우위(Cost Leadership) 전략, 그리고 집중.. 2020. 4. 15.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Key Partnership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핵심 파트너십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핵심 파트너십은 비즈니스 모델을 원할히 작동시켜줄 수 있는 '공급자-파트너' 간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핵심 파트너십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전달하기 위한 우리의 핵심 자원 및 활동 외 필요한 부분을 믿을만한, 역량있는 파트너와 협력하여 충당하는 방식이다. 특히 자원과 역량이 한정적인 초기 스타트업의 경우 비즈니스 모델 작동에 핵심이 되는 모든 자원과 활동을 소유하거나 수행할 수 없기때문에 파트너십을 통한 자원/활동 획득이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 스타트업 입장에서 특히 경쟁자(혹은 잠재적 진입자)들은 활용하거나 쉽게 접근할 .. 2020. 4. 15. 스타트업, 시장의 크기가 아니라 고객가치의 크기를 얘기하라 예비창업자나 초기 스타트업이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검증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대표적인 이슈 중 하나가 바로 '시장의 크기'다. 우리 비즈니스가 목표하는 시장의 크기는 투자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자를 설득하기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사실 창업자 본인이 '과연 이 비즈니스를 계속해야 하는가? 이 비즈니스가 전망이 밝은가?'와 같이 사업을 하면서 하루에도 몇 번씩 떠오르는 질문에 대한 답을 위해서도 목표하는 시장의 크기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문제는 스타트업 대부분이 전에 없던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창조하다 보니 무궁무진한 인터넷의 바다를 헤매도 딱 내가 원하는 시장 규모에 대한 자료를 찾기 힘들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창업자 스스로 시장 규모를 추정해야 하는데 대개 접근법이 우리 제품/서비스와 가.. 2020. 4. 14.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멋진 아이디어가 떠올랐다고? 일단 될 놈인지 검증부터 하자! 나는 1년에도 수차례 예비창업자 혹은 초기 스타트업의 BM을 평가하는 심사에 심사위원으로 참여한다. 이렇게 심사에 참여한 지도 거의 6년차가 되가는 것 같다. 이런 BM 심사는 보통 팀 당 5~7분 가량 발표시간과 5분 내외의 Q&A 시간이 주어진다. 심사위원은 대표의 발표를 경청하고 발표로도 해결되지 않은 BM에 대한 궁금증은 Q&A 시간에 질문으로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발표 및 질의응답 내용을 종합하여 당일 참여한 10~30개 기업들의 점수와 순위를 매긴다. 5~6년 전에는 심사가 참 쉬웠다. 심사에 참여하는 팀들의 준비 수준이 천양지차였는데, 대부분 준비가 미흡한 수준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준비를 잘한 팀에 후한 점수를 주면 됐다. 여기서 말하는 준비 수준이란, 발표 슬라이드가 매력적인 것도 일.. 2020. 4. 11.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Key Activitie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핵심 활동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기업이 비즈니스를 제대로 영위해나가기 위해서 꼭 해야 하는 중요한 일들을 의미한다" 핵심활동은 우리가 목표로 하는 고객 세그먼트에 가치제안을 창출하고 전달하고 고객관계를 구축하는 가치 창출 및 전달 활동에 필요로 하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핵심활동을 정의하는데 있어 참조할 만한 질문에 대해 책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 우리의 밸류 프로포지션은 어떤 핵심활동을 필요로 하는가? - 공급 채널을 위해선 어떤 활동이 필요한가? - 고객 관계를 위해선, 수익원을 위해선 어떤 활동이 필요한가? 2. 비즈니스 모델 블록 작성 책에서 정의한 핵심활동은 .. 2020. 4. 10.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