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 고객 세그먼트 : 우리의 목표 고객은 누구인가? 2. 가치제안 :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가? 3. 채널 : 고객을 어떤 경로로 획득할 것인가? 4. 고객관계 : 특정한 고객 세그먼트와 어떤 형태의 관계를 맺을 것인가? 5. 수익원 : 우리의 주 수익원은 무엇인가? 6. 핵심 자원 : 가치제안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자원은 무엇인가? 7. 핵심 활동 : 가치제안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활동은 무엇인가? 8. 핵심 파트너십 : 가치제안을 구현하기 위해 누구와의 파트너십이 필요한가? 9. 비용 구조 : 우리의 비용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비즈니스 모델을 진단하고 수립하는데 활용되는 여러가지 프레임워크 중에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굉장히 유용하다. 한 장의 캔버스에 있는 9가지 비즈니스 모델..
지난 포스팅에서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을 위해 최소 한 단위(Unit)를 어떻게 정의하는지, 그리고 이렇게 정의할 유닛에 따라 어떤 지표를 숙지해야 하는지 정리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시길 바란다. 유닛 이코노믹스 플레이북 - 2)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 주요 지표 이해 이제 우리 비즈니스 아이디어 또는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성을 유닛 이코노믹스를 가지고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단계별로 설명하고자 한다. 유닛 이코노믹스에서 정의하는 최소 한 단위가 2가지 유형이 있기에 각 유형별로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을 어떻게 해야 할지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제품/서비스 한 단위의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 2) 고객 한 사람의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 각 유형별 일반적인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 프로..
지난 포스팅에서 유닛 이코노믹스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설명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인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 전 반드시 숙지해야 할 주요 지표를 유닛 이코노믹스의 최소 한 단위 유형별로 나눠서 설명하고자 한다. 아직 지난 글을 읽지 못했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일독하고 본 포스팅을 읽을 것을 권한다. 유닛 이코노믹스 플레이북 - 1) 유닛 이코노믹스 이해 1. 최소 한 단위 정의 지난 포스팅에서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의 출발점으로 우리 비즈니스의 채산성을 분석하는 최소 한 단위를 올바르게 정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즈니스 유형에 따라 다르겠지만 크게 2가지 종류의 단위가 존재하고 각각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유닛 이코노믹스에서 정의하는 2가지 유형의 유닛(최소 한 단위) 1) 제품/서비스 한 단위 ..
실리콘밸리의 Growth 전문가이자 a16z 파트너로 다양한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투자자인 Andrew Chen은 '투자 라운드별 투자자가 주목하는 부분'을 설명하면서 Series C 라운드 이상에서는 투자자는 유닛 이코노믹스(Unit Economcis)에 베팅을 한다고 강조했다. 비단 실리콘밸리뿐만 아니라 국내 스타트업 투자 시장에서는 수많은 전문가, 투자자들이 유닛 이코노믹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유동성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소위 스타트업 투자 '빙하기' 시대에 돌입하면서 비즈니스 모델이 지니고 있는 경제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그러면서 유닛 이코노믹스의 중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다. 비즈니스 모델의 최소 한 단위의 경제성을 분석해 보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 비즈니스의 채산성, 성장성, 지속가능성..
메일함에 수많은 뉴스레터들이 쌓여있지만 밥벌이가 급해 잘 보지 못한다. 그러다가 우연히 Andrew Chen 뉴스레터의 최신 글을 읽었는데 너무 공감가는 내용이라서 아래와 같이 빠르게 공유하고자 한다. 글의 원문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The “Dinner Party Jerk” test — why founders need to pitch themselves harder and more futuristically at andrewchen The “Dinner Party Jerk” test is a solution to a common problem: Startups often struggle at pitching their team, even though for the earliest stage c..
지금까지 잠재 투자자 설득을 목적으로 한 IR Material에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담아야 할 지에 대해 정리해 왔다. 앞서 4~6편의 플레이북 콘텐츠를 잘 숙지한다면 비즈니스에 관한 내러티브, 넘버 그리고 그 밖에 강조할 포인트를 담아서 훨씬 더 매력적인 IR Material을 만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Storytelling(Narrative) : 핵심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고객, 고객의 문제, 문제에 대한 해결책, 고객-제품 적합성, 제품-채널 적합성, 수익모델 등을 논리적으로 정리 Growth Modeling(Numbers) : 비즈니스 모델을 작동됨에 따라 만들어 낼 다양한 지표들을 식별하고 이 중 밸류에이션 목표 달성 및 비즈니스 성장의 핵심 동인이 되는 지표들을 하나의 방정식으로..
잠재 투자자 설득을 위한 매력적인 IR Material을 만들기 위해서 초기 창업자가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비즈니스의 Narrative & Numbers에 대해 지난 플레이북 4,5편을 통해 소개했다. Narrative와 Numbers 간 조화를 이룬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면 우리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듣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즈니스의 매력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R Material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어 주는 3가지 Remarkable Point를 소개하고자 한다. 사실 탄탄한 논리를 갖춘 비즈니스 성장 내러티브는 누구나 만들고 얘기할 수 있다. 하지만 기승전결 말이 되는 논리를 갖춘 이야기라도 어떤 이야기는 설득력이 있는데, 어떤 얘기는 그럼..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투자자가 듣고 싶어 하는 항목 중심으로 스토리라인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고객이 지니고 있는 문제의 심각성, 우리 제품이 제공하는 가치제안의 매력성, 그리고 Product-Market Fit을 찾았거나 찾고자 하는 계획 등이 합리적이라면 꽤 설득력 있는 내러티브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지만 왠지 이야기만으로는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이야기는 핵심 이미지를 손쉽게 상상하게 만들지만 구체적으로 얼마나 임팩트가 있을지 추산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같은 단어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이 느낌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이야기만으로는 초기 스타트업이 만들어 낼 미래의 임팩트 크기를 일관되게 전달하기 힘들다. 그래서 이야기의 결과를 정량적으로 계산하고 상..
초기 창업자가 현재 라운드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투자유치 금액과 현재 우리 회사의 밸류, 그리고 5년 내 최소 10 배수 이상 회수를 위해 필요한 주요 지표와 그 목표치,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대략적인 계획이 섰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IR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한다. Pre Series ~ Series A 라운드에서 활용할 IR 사업계획서 분량에 대해서 정해진 바는 없지만 그래도 투자자가 궁금할 법한 내용을 핵심 키워드 중심으로 담는다고 해도 40~50페이지 내외 분량이 나오기 때문에 사전에 전반적인 골격을 잡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서 작성이 필요하다. 3번의 포스팅에 걸쳐서 우리 비즈니스 모델의 내러티브와 넘버 간 조화를 갖춘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해 아웃라인을 잡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며, 이번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