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books for Frameworks
파워를 가진 기업으로써 그렇지 못한 기업 대비 산업 초과 수익을 창출하는데 기여하는 7가지 파워는 기업의 성장 단계별로 확보 또는 형성되거나 활용되는 시기가 각자 상이하다(파워의 발전 단계). 책의 저자 해밀턴 헬머는 파워의 발전 단계를 시간과 기업의 성장 정도를 기준으로 3가지로 구분했는데 바로 '발생(Origination)', '도약(Takeoff)', '안정(Stability)'다.발생(Origination) : 기업이 시작하면서 타고나는 파워.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면서 자연히 획득하거나 기업을 시작하면서 먼저 확보하고 시작하는 파워 의미. -> 독점 자원, 카운터 포지셔닝도약(Takeoff) :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형성되고 확보되는 파워 의미. 주로 기업 규모에 비례해서 강화되며 시간이 갈수록..
스타트업이 성장기에 획득할 수 있는 유형의 파워는 크게 3가지가 있다. 바로 규모의 경제(Scale Economies), 네트워크 경제(Network Economies), 그리고 전환 비용(Switching Costs)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장기에 획득할 수 있는 3번째 파워, 전환 비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스타트업이 달성해야 할 핵심 마일스톤 중 하나로 Product-Market Fit을 들 수 있다. Product-Market Fit 정의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있겠지만, 보통 좁은 의미의 Product-Market Fit은 '고객이 우리 제품/서비스를 사랑하고 계속 쓰고 있다'는 점이다. 고객이 우리 제품을 사랑하고 자주 쓰고 있음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로 NPS, Retention Rate ..
앞서 포스팅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시장에 진입한 후 성장기를 거치면서 획득할 수 있는 3가지 유형의 파워를 소개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장기에 획득해야 하는 3가지 유형 파워 중 2번째인 '네트워크 경제' 파워에서 대해 소개하겠다. I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의 특징 중 하나는 물리적 재화가 아닌 디지털 재화가 중심이 된다는 점이다. 고객에게 특정 인프라를 제공하는 비즈니스가 아니라면 가치제안을 창조하고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대부분 '변동비'가 차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런 특징을 지닌 비즈니스는 단순히 시장 점유율(=획득한 고객 규모)이 높다고 해서 그렇지 않은 기업 대비 비용적인 우위가 그리 크지 않다. 획득한 고객의 숫자보다 제품이나 서비스 내에 잘 설계된 고객 상호..
지금까지 초기 스타트업 창업자 관점에서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3가지 '파워'에 대해서 소개했다. 짧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브랜딩(Branding) : 판매자에 대한 역사적 정보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동일한 상품에 지속적으로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현상. 그러므로 브랜딩 파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시작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성질의 파워가 아닌 초기 창업자의 비즈니스가 안착했을 때 누릴 수도 있는 파워이다.카운터 포지셔닝(Counter Positioning) : 기존 기업이 자신의 기존 사업에 피해가 갈 것으로 예상하여 모방하지 않는 새롭고 우수한 비즈니스 모델을 신규 기업이 도입하는 것. 기존 대기업이 부수적 피해를 예상해 당장 따라 할 수 없는..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것은 결국 무언가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을 의미한다(Zero to One). 새로운 것을 만들고 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자원이 필요하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라는 도구를 보면 9가지 블록 중 핵심 자원(Key Resource) 항목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 항목에는 기업이 보유한 자원을 정의한다.하지만 문제는 우리의 핵심 자원이 전혀 특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비즈니스에 필요한 자원이 특별하다는 것은 곧 그것이 구하기 어려워 우리 팀만 사용할 수 있는 자원 또는 우위를 의미한다. 돈만 있으면 누구나 구할 수 있는 자원은 핵심 자원으로 정의할 필요가 없다. 이런 기조를 반영해 애쉬 모리아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근간으로 보다 스..
스타트업을 한다는 것에 대해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지만, 내가 생각하는 스타트업은 '무언가 새로운 것을 창조함으로써 지속가능하고 빠른 성장이 가능한 비즈니스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를 2개의 키워드로 요약하자면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제로투원(Zero to One)'과 '지속가능한 성장 추구(Sustainable Growth)'이다.뭔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 시장에 내놓으면 특히 얼리어답터 중심으로 '우와~!' 하는 반응과 일정한 트랙션을 확보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보다 모든 면에서 뛰어난 플레이어(대개 동종/유사 업종의 대기업)가 우리 비즈니스 아이템/모델을 똑같이 따라 해서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제 막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입장에서 고객에게 신선함을 제시했는데, 그 신선함을 대..
2024년도 이제 절반이 다 지나가고 있는 가운데 2024년 올 한 해 기억에 남는 책 한 권을 꼽으라면 2년 만에 다시 완독한 해밀턴 헬머의 를 꼽고 싶다. '실리콘밸리 최고의 비밀로 여겨지던 전략 프레임워크!'라는 다소 도발적인 문구로 시작하지만, 실제 책을 읽고 나면 실로 많은 영감을 주는 전략 프레임워크임을 깨닫게 해주는 책이다. 도서 정보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2343952개인적으로 이 책을 통해서 스타트업이 추구해야 할 경쟁우위, 핵심 역량(파워)을 정의하고 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에 많은 영감을 얻었다. 다만 책에서 다루는 전반적 내용과 주요 사례가 이제 막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스타트업보다는 대기업/유니콘에 맞춰줘 있다 보니..
지금까지 유닛 이코노믹스 정의, 분석 전 알아야 할 핵심지표,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 유닛 이코노믹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어떻게 수익성 극대화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지 등 초기 스타트업이 유닛 이코노믹스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 전반을 다뤘다. 유닛 이코노믹스를 정의하고,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익성 극대화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 전반은 사실 이미 수익모델이 작동해 매출이 일어나고 있는 스타트업이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아직 제품이 나오지 않았거나 이제 막 지표가 발생하고 있는 예비창업팀~극초기 스타트업은 유닛 이코노믹스를 가지고 '현재' 수익성을 진단하고 분석하기 힘들다. 그럼 예비창업팀~극초기 스타트업에게 유닛 이코노믹스는 '그림의 떡'인 것일까? 개인적으로 예비창업팀~극초기 스타트업 대상으로 더 ..
유닛 이코노믹스와 비즈니스 수익성 극대화 전략 수립은 기업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다. 유닛 이코노믹스는 개별 제품이나 서비스 단위로 비용과 수익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기업은 제품 또는 서비스가 가져오는 직접적인 가치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 수립은 유닛 이코노믹스의 효율적인 관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지금부터 살펴보겠다. 유닛 이코노믹스 개선 : 최소 한 단위의 채산성 극대화 유닛 이코노믹스는 비즈니스 최소 한 단위의 채산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대개 최소 한 단위가 창출하는 매출이 의미 있는 수준의 이익이 남는지를 '공헌이익' 개념을 가지고 분석해 보고, 더 나아가 신규 매출을 창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