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모델13

5분 만에 공감을 이끌어 내는 스토리텔링 프레임워크 "어떻게 하면 내가 하고자 하는 사업 아이디어(혹은 사업모델)을 상대방에게 잘 이해시킬 수 있을까?" 제품이나 서비스 아이디어가 어느정도 구체화돼서 본격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사업 아이디어 혹은 사업모델을 설명하기 시작하면서 겪게 되는 문제점일 것이다. 이런 설명이 익숙하지 않은 창업자는 제품의 특장점, 기술 중심으로 본인이 하고 싶은 얘기만 주입적으로 강요하듯이 설명하는데, 이는 듣는 이에게 있어서는 '소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된다. 결국 듣는이를 이해시키고 듣는 이로 하여금 무언가의 액션(팀 합류, 투자 결정, 후한 심사점수, 진실한 피드백 등)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듣는 이를 집중시켜야 하는데, 이때 주로 활용되는 것이 나의 사업 아이디어, 사업 모델을 일종의 이야기로 만드는 것이다. 위와 같은.. 2020. 7. 14.
1,000억 원짜리 사업을 만드는 길 (The Road to $100M) 나는 종종 이런 생각을 한다. '내가 가진 사업 아이디어의 잠재성/논리적 타당성을 빠르게 검증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없을까?' 물론 사업을 한다는 것은 앉은 자리에서 탁상공론만으로는 아무런 답을 얻을 수 없지만, 직업 특성상 다양한 사업 아이디어를 접하고, 평가/판단하는 입장이기에 항상 논리적으로 사업아이디어/사업모델에 대한 가치나 잠재성을 나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론에 목말랐다. 이런 고민에 대해 최근에 인상깊은 글을 읽었다. 바로 Brian Balfour의 'The Road to $100M'라는 글이다. Brian Balfour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면, HubSpot의 Growth 총괄이자 다양한 스타트업에 대한 공동창업, 성장을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했으며, 지금은 급속 성장을 원하는 조직에 .. 2020. 6. 1.
린 캔버스 (Lean Canvas) 1. 프레임워크 소개 린 캔버스는 에릭 리스(Eric Ries)가 창안한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에 입각하여 빠르게 스타트업을 할 수 있는 여러 방법론 중 가장 각광 받고 있는 'Running Lean'을 출간한 애쉬 모리아(Ash Maurya)에 의해 만들어진 일종의 비즈니스 모델 개요를 정리하는 프레임워크다. 애시 모리아는 린 스타트업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본인의 블로그에 정리하면서 사람들로부터 방법론을 한데 모아 책으로 출간해달라는 요청을 종종 받았다고 한다. 이에 책 출간자체도 원고를 모두 써놓고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사람들이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 관한 자신의 책을 원하는지, 그리고 어떤 내용의 책을 원하는지를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린 스타트업 방법론에 입각해서 고객을 발굴.. 2020. 4. 16.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ost Structure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비용구조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비용구조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는 데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 비용구조는 우리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전달하는데 소요되는 자원, 활동, 파트너십을 소유하고 수행하는데 들어가는 전체 비용이다. 기본적으로 비용은 적게 쓰면 적게 쓸수록 좋겠지만, 특히 낮은 비용구조가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 세계적인 경영구루 마이클 포터의 경쟁이론에 따르면, 자사의 경쟁우위를 기반으로 취할 수 있는 전략에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는데 바로 차별화(Differentiation) 전략, 원가우위(Cost Leadership) 전략, 그리고 집중.. 2020. 4. 15.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Key Partnership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핵심 파트너십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핵심 파트너십은 비즈니스 모델을 원할히 작동시켜줄 수 있는 '공급자-파트너' 간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핵심 파트너십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전달하기 위한 우리의 핵심 자원 및 활동 외 필요한 부분을 믿을만한, 역량있는 파트너와 협력하여 충당하는 방식이다. 특히 자원과 역량이 한정적인 초기 스타트업의 경우 비즈니스 모델 작동에 핵심이 되는 모든 자원과 활동을 소유하거나 수행할 수 없기때문에 파트너십을 통한 자원/활동 획득이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 스타트업 입장에서 특히 경쟁자(혹은 잠재적 진입자)들은 활용하거나 쉽게 접근할 .. 2020. 4. 15.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Key Activitie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핵심 활동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기업이 비즈니스를 제대로 영위해나가기 위해서 꼭 해야 하는 중요한 일들을 의미한다" 핵심활동은 우리가 목표로 하는 고객 세그먼트에 가치제안을 창출하고 전달하고 고객관계를 구축하는 가치 창출 및 전달 활동에 필요로 하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핵심활동을 정의하는데 있어 참조할 만한 질문에 대해 책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 우리의 밸류 프로포지션은 어떤 핵심활동을 필요로 하는가? - 공급 채널을 위해선 어떤 활동이 필요한가? - 고객 관계를 위해선, 수익원을 위해선 어떤 활동이 필요한가? 2. 비즈니스 모델 블록 작성 책에서 정의한 핵심활동은 .. 2020. 4. 10.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Key Resource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핵심 자원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비즈니스를 원활히 진행하는 데 가장 필요한 중요한 자산을 의미한다" 핵심자원은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우리의 핵심역량(Core Competancy) 중 우리가 직접 보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원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가치제안(Value Proposition)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누면 우측은 고객에게 우리의 가치제안을 전달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일종의 '가치 창출 및 전달' 영역이고, 좌측은 가치 창출 및 전달에 필요한 자원, 활동, 파트너십과 같은 우리의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핵심 역량을 보유하고 운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구조에 대한 부.. 2020. 4. 10.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Revenue Stream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수익원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수익원은 기업이 각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창출하는 현금을 의미한다." 수익원은 우리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그 반대급부로 고객으로부터 받는 '돈'을 받는 원천에 대해 정리하는 블록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서 수익과 관련한 블록은 수익원(Revenue Streams)으로 이는 수익모델(Revenue Model),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과는 구분이 필요하다. 대개 자신들의 사업 아이템의 수익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수익원, 수익모델, 비즈니스 모델을 혼용해서 사용하는데 이 3개의 개념은 서로 약간씩 다르다. 결론부터 얘기하.. 2020. 4. 6.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Value Proposition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가치제안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특정한 고객 세그먼트가 필요로 하는 가치를 창조하기 위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조합이 바로 '밸류 프로포지션'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작성함에 있어 먼저 고객 세그먼트를 정의하고(기왕이면 고객 세그먼트 및 해당 고객 세그먼트가 지니고 있는 해결과제, 문제점/니즈 등도 같이 정의) 해당 고객 세그먼트에게 제공할 '가치'를 본 블록을 통해 정리한다. 이때 우리 상품(제품 및 서비스)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나 혜택을 단순히 정의하고 열거하는 수준으로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상품이 지니고 있는 기능/혜택이 우리 목표 고객 세그먼트에게 어떤 가치로 인식될 .. 2020.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