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지난번 포스팅을 통해 가치기반 가격결정법의 프로세스 및 각 단계별 지침에 대해 설명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프라이싱 전략 플레이북 - 3) 가치기반 가격 결정법 활용 (Value-based Pricing) 지난번 포스팅에서 가격을 결정하는 주요 3가지 접근법에 대한 개요 설명하면서 초기 스타트업에게 가장 적합한 가격 결정법으로 가치기반 가격결정법을 언급했다. https://acquiredentrepreneur.tistory. 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 가치기반 가격결정법을 바탕으로 우리의 핵심 제품에 대한 기준 가격이 생겼다. 하지만, 어느 정도 비즈니스 모델이 작동된 이후에는 모든 고객군에 대해 단일 제품-단일 가격만 제공하..


지난번 포스팅에서 가격을 결정하는 주요 3가지 접근법에 대한 개요 설명하면서 초기 스타트업에게 가장 적합한 가격 결정법으로 가치기반 가격결정법을 언급했다.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프라이싱 전략 플레이북 - 2) 주요 프라이싱 접근법 이해 지난번 포스팅에서 수익모델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고, 가격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로써 프라이싱(Pricing)의 구체적인 정의와 의의에 대해 설명했다. 자 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인지한 가치를 기반으로 가격을 결정하는 '가치기반 가격결정법(Value-base Pricing)'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프레임워크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가치기반 ..


지난번 포스팅에서 수익모델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고, 가격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로써 프라이싱(Pricing)의 구체적인 정의와 의의에 대해 설명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프라이싱 전략 플레이북 - 1) 프라이싱에 대한 전반적 이해 초기 창업자가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고민해야 할 요소들이 다양하다. 그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는 우리가 고객에게 전달하는 가치를 구체적 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사가 자신들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가격을 책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접근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본 포스팅에서 설명할 프라이싱 ..


초기 창업자가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고민해야 할 요소들이 다양하다. 그중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는 우리가 고객에게 전달하는 가치를 구체적으로 정의한 '고객가치제안'과 돈을 어떻게 얼마나 벌 것인지를 정의한 '수익모델'을 두 가지를 꼽는다. 고객가치제안 이해: https://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113 수익모델 프레임워크 이해: https://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42 특히 어느정도 고객가치제안을 검증한 이후에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돈을 얼마나 벌 것인가를 체계적으로 고민하는 수익모델 디자인이 중요한데 이때 창업자가 특히 면밀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로 바로 '가격 결정(Pric..


지난 포스팅 에서 초기 창업자가 간과하기 쉬운 새로운 아이디어, 제품, 혁신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대해 소개했다. https://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114 우리의 고객들은 왜 이 좋은 아이디어를 알아주지 않을까? - 제품/서비스 마찰력 이해하기 "남자에게 정말 좋은데... 어떻게 표현할 방법이 없네...." 벌써 10년도 더 지난 남성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광고 메시지지만 아직까지 글쓴이의 기억에 남아 있는 메시지다. 아마 많은 분들이 위의 acquiredentrepreneur.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새로운 제품이나 혁신 아이디어가 목표 고객에게 매끄럽게 안착되기 위해서 초기 창업자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마찰력'의 유형과 이런 마찰력을 효과적으로 ..


"남자에게 정말 좋은데... 어떻게 표현할 방법이 없네...." 벌써 10년도 더 지난 남성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광고 메시지지만 아직까지 글쓴이의 기억에 남아 있는 메시지다. 아마 많은 분들이 위의 대사만 봐도 어떤 광고에 어떤 상품인지 단번에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항상 글쓴이가 강조하는 것은 새로운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을 창조하는 조직으로서 스타트업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매력적인 고객가치제안을 설계하는 것이다. 매력적인 고객가치제안 스토리텔링을 위한 8단계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거나 진단하거나, 혹은 다른 이해관계자에게 설득하기 위해 가장 먼저 확립돼야 할 요소로 '고객가치제안(Customer Value Proposition)'이 있다. 국내에서는 '파괴적 혁신'으로 acquiredentr..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거나 진단하거나, 혹은 다른 이해관계자에게 설득하기 위해 가장 먼저 확립돼야 할 요소로 '고객가치제안(Customer Value Proposition)'이 있다. 국내에서는 '파괴적 혁신'으로 유명한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수는 2008년 HBR에 기고한 'Reinventing Your Business Model' 아티클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 크게 4가지가 있으며,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고객가치제안'으로 꼽았다. (나머지는 수익공식, 핵심자원, 핵심프로세스) 고객가치제안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다양한 정의가 있지만, 필자는 개인적으로 고객가치제안을 '고객이 우리 제품을 사용하는 이유가 되는 쓸모'라고 정의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개념은 '쓸모'라는 개념..


스타트업을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많은 의견들이 있지만, 결국 '제품'을 만들지 말고, 우선 해결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제'를 먼저 찾으라는 의미로 귀결한다. 트위치를 창업한 후 성공적으로 엑싯하고, 현재 Y-Combinator의 파트너로 있는 Michael Seibel의 '어떻게 스타트업 아이디어를 얻고 검증할까?'라는 주제의 영상에서도 무엇보다 문제로부터 시작(Start with a Problem)하는 것의 중요성이 언급되고 있다 '문제로부터 시작하라'는 메시지는 역으로 초기 제품 아이디어, 비즈니스 모델을 평가하는 입장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초기 스타트업을 판단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팀이 얼마나 해결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제에 집중하는가'..


린스타트업 방법론을 창시한 에릭 리스(Eric Ries)에 따르면 '초기 스타트업이 반드시 검증해야 할 가설로는 가치 가설(Value Hypothesis)와 성장 가설(Growth Hypothesis)가 있다'고 한다. 가치 가설을 검증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제품이 고객에게 가치(=쓸모)를 제공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성장 가설은 고객이 우리 제품을 어떻게 인지하고 참여/구매하는지에 대한 일련의 가설로 이를 검증한다는 것은 곧 고객을 어떻게 획득할 것인지 검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스타트업에게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것만큼 고객 가치를 고객에게 올바르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객 획득에 대한 고민없이 제품 가치에만 집중하는 스타트업은 흔히 '꿈의 구장 오류'를 겪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