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ghts from Reading
Product-Market Fit(이하 PMF)은 모든 스타트업이 목표로 하는 첫 번째 마일스톤이다. PMF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의견이 존재하지만, 결국 핵심은 일정 이상의 규모를 만들고 이익을 만들어낼 수 있는 일종의 펀더멘털을 확보하고 구축했음을 의미한다. 개인적으로 PMF에 대한 정의로 공감하는 정의는 Lenny Ratchitsky의 PMF 정의로 PMF를 달성했다는 것은 1) 유저가 사랑하는 제품, 2) 지속적으로 고객을 찾고 획득, 3) 일정 규모 확보 후 유의미한 이익 창출 가능, 3가지를 확보해야 PMF를 달성했다고 할 수 있다는 정의다.PMF은 스타트업에게 중요한 마일스톤이기 때문에 관련해서 따로 정리해 놓은 포스팅이 있다. PMF 자체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필요하면 아래 링크를 참조..
세상에는 다양한 스타트업들이 존재하고 새로 생겨나고 있다. 이들의 제공하는 가치제안도 제품/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또 제각각이다. 하지만 공통점을 하나 찾자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고객의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조하면서 시작한다는 점이다. 그렇다. 스타트업은 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을 창조하면서 시작한다. 그래서 초기 스타트업을 평가할 때 중요하게 보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얼마나 매력적인가?'이다. 여기서 이제 분기점이 갈린다. 치명적이지만 소수가 겪고 있는 문제에 집중할 것인가? 아니면 소위 말하는 대중시장, 즉 다수가 겪고 있는 문제에 집중할 것인가? 물론 개인마다 나름의 관점이 있겠지만, 통상 '소수의 심각한 문제'에 집중할 것은 권한다..
본 포스팅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2024년 7-8월호 '그 마켓플레이스, 성공할 수 있을까?' 내용을 읽고 주요 내용 정리 및 글쓴이의 생각/의견을 정리한 글입니다. 아티클의 원문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https://www.hbrkorea.com/article/view/atype/ma/category_id/1_1/article_no/2200/page/1플랫폼 비즈니스 중에 공급자와 수요자 간 거래를 중개하는 모델을 마켓플레이스(Marketplace)라고 부른다.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매출 규모나 성장 속도로 손꼽히는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보면, 마켓플레이스 모델을 갖추고 있거나 지향하고 있는 기업이 다수를 차지한다. 그리고 지금도 수많은 예비창업자 및 초기 스타트업 또한 마켓플레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콘텐츠를 찾다가 비즈니스 유형별로 잘 정리된 콘텐츠가 있어서 소개하고자 한다.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Exit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Y-Combinator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는 Aaron Epstein의 ‘YC Guide to Business Models’라는 제목의 콘텐츠로, 핵심 내용은 기업 가치 수십억 달러로 성장할 만한 9가지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과 각 비즈니스 모델별 필요한 접근을 정리한 글이다.원문 바로보기 : https://www.ycombinator.com/library/Gh-yc-guide-to-business-models 위의 콘텐츠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1. 유니콘을 만들 수 있는 9가지 비즈니스 모델 : SaaS, Transactio..
프레임워크, 로드맵, 가이드북...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어인 것 같습니다. 저는 이 단어들을 보면 일단 미칩니다. 살펴보고 어떻게 초기 스타트업 창업자가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강의/코칭 콘텐츠로 만듭니다(물론 극심한 게으름으로 5% 정도만 콘텐츠화 하고, 나머지는 노션/에버노트 어딘가에 저장만 돼 있다는..). 이런 콘텐츠 중에서 개인적으로 내용이 좋았던 콘텐츠를 본 포스팅을 통해 빠르게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워드프레스를 한 번이라도 써보셨거나 강의라도 들어보신 분은 아마 아실 워드프레스 솔루션 회사인 WP Engine을 창업한 Jason Cohen의 글입니다(저는 몰랐는데 WP Engine이 '유니콘' 스타트업이었네요). 'The roadmap to Product/Market Fit (PM..
큰 틀에서 B2B 비즈니스로 묶이지만 IT 솔루션 비즈니스는 전통적인 B2B 비즈니스와 차이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종전 솔루션보다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혹은 더 나은 혜택을 제공하면서도 가격은 1/10 수준 또는 그 이하로 구매할 수 있다는 효익을 제시하는 기업들이 하는 B2B 비즈니스가 전통적인 B2B 비즈니스와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바로 이런 특성덕분에 어느 정도 예산과 구매력을 갖춘, 하지만 완벽한 솔루션을 원하는 중견/대기업을 주로 목표로 하는 전통적인 B2B 비즈니스와 달리 연간 100만 원 내외의 솔루션 비용을 지출할 수 있는 중소기업(SMB)을 새로운 목표 고객으로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됐다. 비록 고객당 객단가는 1/10 혹은 그 이하로 줄어들었지만,..
초기 스타트업의 성공 여부는 고객과 시장의 요구를 얼마나 잘 파악하고 새로운 제품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접근 중 하나가 바로 'Product Discovery'이다. 제품을 무작정 빨리 만들어서 배포하는 Product Delivery가 아닌 고객이 진짜 원하는 제품을 '발견'한다는 Product Discovery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결국 고객에게 대해 더 많은 관찰과 학습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비/초기 창업자 또는 UX 개선을 위한 팀이 고객을 더 잘 학습하기 위해서 주로 쓰는 도구는 단연 '고객 인터뷰'일 것이다. 고객 인터뷰는 우리 제품이나 서비스가 실제로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메일함에 수많은 뉴스레터들이 쌓여있지만 밥벌이가 급해 잘 보지 못한다. 그러다가 우연히 Andrew Chen 뉴스레터의 최신 글을 읽었는데 너무 공감가는 내용이라서 아래와 같이 빠르게 공유하고자 한다. 글의 원문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The “Dinner Party Jerk” test — why founders need to pitch themselves harder and more futuristically at andrewchen The “Dinner Party Jerk” test is a solution to a common problem: Startups often struggle at pitching their team, even though for the earliest stage c..
요즘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키워드 중 하나를 꼽으라면 단연 AI, 그 중에서도 생성형 AI(Generative AI)라고 할 수 있다. 작년 말 ChatGPT가 나왔을 때 글쓴이를 비롯한 대부분 사람이 받았을 인상은 아마 충격 그 자체였을 것이다. 마치 사람과 채팅하듯한 궁금한 것에 대해 답을 얻거나 새로운 무언가를 금방 금방 창조해내는 모습에서 AI Chatbot에 대한 선입견을 완전히 깨버리는 계기가 됐다. 그리고 올 초부터 'AI'를 타이틀로 하는 무수한 스타트업 혹은 기존의 비즈니스에 AI를 추가하여 새롭게 브랜딩하는 스타트업들을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었다. 이제는 AI라는 얘기만 나와도 벌써 식상할 정도로 AI가 핫하고 굉장히 유행인데, 이런 현상이 비단 우리나라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닌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