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books for Frameworks37 PSF방법론 - 1) 초기 창업자의 가설 검증 전반 이해(배경, 주요 용어 정의 등) 린스프린트(가 아니라...) 린스타트업(Lean Startup). 누구에게는 이미 한물한 용어라고 치부할 것이고, 어떤 누구에게는 최근에 알게 돼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을 것이고, 또 다른 누구에게는 난생 처음 보는 개념일 수 있다. 이렇듯 '린스타트업'하면 떠오르는 심상은 사람마다 제각각이겠지만, 스타트업을 하겠다고 마음먹거나 혹은 스타트업 세상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을 갖게 된 사람이라면 대략적으로 어떤 의미인지는 이해해야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최소한도의 이해가 없다면 아예 말이 안 통할 수도 있다). 지금도 네이버, 구글에 '린스타트업'이라고 검색하면 린스타트업의 정의, 유래, 의의 등을 상세하게 서술한 양질의 글을 볼 수 있으니, 본 포스팅에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만약 린스타트업이라는 용어를 처음.. 2020. 9. 9.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ost Structure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비용구조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비용구조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는 데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 비용구조는 우리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전달하는데 소요되는 자원, 활동, 파트너십을 소유하고 수행하는데 들어가는 전체 비용이다. 기본적으로 비용은 적게 쓰면 적게 쓸수록 좋겠지만, 특히 낮은 비용구조가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 세계적인 경영구루 마이클 포터의 경쟁이론에 따르면, 자사의 경쟁우위를 기반으로 취할 수 있는 전략에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는데 바로 차별화(Differentiation) 전략, 원가우위(Cost Leadership) 전략, 그리고 집중.. 2020. 4. 15.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Key Partnership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핵심 파트너십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핵심 파트너십은 비즈니스 모델을 원할히 작동시켜줄 수 있는 '공급자-파트너' 간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핵심 파트너십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전달하기 위한 우리의 핵심 자원 및 활동 외 필요한 부분을 믿을만한, 역량있는 파트너와 협력하여 충당하는 방식이다. 특히 자원과 역량이 한정적인 초기 스타트업의 경우 비즈니스 모델 작동에 핵심이 되는 모든 자원과 활동을 소유하거나 수행할 수 없기때문에 파트너십을 통한 자원/활동 획득이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 스타트업 입장에서 특히 경쟁자(혹은 잠재적 진입자)들은 활용하거나 쉽게 접근할 .. 2020. 4. 15.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Key Activitie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핵심 활동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기업이 비즈니스를 제대로 영위해나가기 위해서 꼭 해야 하는 중요한 일들을 의미한다" 핵심활동은 우리가 목표로 하는 고객 세그먼트에 가치제안을 창출하고 전달하고 고객관계를 구축하는 가치 창출 및 전달 활동에 필요로 하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핵심활동을 정의하는데 있어 참조할 만한 질문에 대해 책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 우리의 밸류 프로포지션은 어떤 핵심활동을 필요로 하는가? - 공급 채널을 위해선 어떤 활동이 필요한가? - 고객 관계를 위해선, 수익원을 위해선 어떤 활동이 필요한가? 2. 비즈니스 모델 블록 작성 책에서 정의한 핵심활동은 .. 2020. 4. 10.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Key Resource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핵심 자원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비즈니스를 원활히 진행하는 데 가장 필요한 중요한 자산을 의미한다" 핵심자원은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우리의 핵심역량(Core Competancy) 중 우리가 직접 보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원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가치제안(Value Proposition)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누면 우측은 고객에게 우리의 가치제안을 전달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일종의 '가치 창출 및 전달' 영역이고, 좌측은 가치 창출 및 전달에 필요한 자원, 활동, 파트너십과 같은 우리의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핵심 역량을 보유하고 운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구조에 대한 부.. 2020. 4. 10.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Revenue Stream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수익원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수익원은 기업이 각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창출하는 현금을 의미한다." 수익원은 우리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그 반대급부로 고객으로부터 받는 '돈'을 받는 원천에 대해 정리하는 블록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서 수익과 관련한 블록은 수익원(Revenue Streams)으로 이는 수익모델(Revenue Model),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과는 구분이 필요하다. 대개 자신들의 사업 아이템의 수익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수익원, 수익모델, 비즈니스 모델을 혼용해서 사용하는데 이 3개의 개념은 서로 약간씩 다르다. 결론부터 얘기하.. 2020. 4. 6.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Value Proposition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가치제안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특정한 고객 세그먼트가 필요로 하는 가치를 창조하기 위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조합이 바로 '밸류 프로포지션'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작성함에 있어 먼저 고객 세그먼트를 정의하고(기왕이면 고객 세그먼트 및 해당 고객 세그먼트가 지니고 있는 해결과제, 문제점/니즈 등도 같이 정의) 해당 고객 세그먼트에게 제공할 '가치'를 본 블록을 통해 정리한다. 이때 우리 상품(제품 및 서비스)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나 혜택을 단순히 정의하고 열거하는 수준으로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상품이 지니고 있는 기능/혜택이 우리 목표 고객 세그먼트에게 어떤 가치로 인식될 .. 2020. 4. 6.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ustomer Segment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고객 세그먼트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기업이 제각기 얼마나 상이한 유형의 사람들 혹은 조직을 겨낭하는지를 규정한다" 해당 블록은 우리가 목표로 하는 고객군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하는 블록으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작성의 첫 시작이자,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제공하는 상품(제품/서비스)가 고객에게 선택되고 사용/구매되기 위해서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혹은 간절히 원하는 무언가를 우리 상품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단순히 원하는 것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선택지 중에 가장 고객에게 어필돼야 한다. 그런 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고객에 대한 이해가 .. 2020. 4. 3.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ustomer Relationship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고객관계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특정한 고객 세그먼트와 어떤 형태의 관계를 맺을 것인가" 해당 블록은 우리가 목표로 하고 있는 고객(세그먼트)와 어떤 형태의 관계를 수립하고 싶은지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고객관계(Customer Relationship)은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관점에서 어떻게 고객을 확보하고 계속 유지하고, 우리 상품/브랜드의 열렬한 옹호자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다. 이 관점에서 해당 블록에 대해서 이해할 때 어떻게 고객에게 노출되고 홍보하고 쿠폰/적립금 등 도구를 활용해 고객.. 2020. 3. 27.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