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규모추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가상의 비즈니스 모델을 대상으로 파이낸셜 모델 구조 디자인부터 실제 스프레드시트 작성까지 실습하는 과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파이낸셜 모델링에 대한 이해가 없는 일반적인 초기 스타트업 창업자 또는 IR을 담당하는 분들도 몇 번 반복해서 보고 연습하고 자신만의 파이낸셜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최대한 상세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가상의 스타트업에 대한 대략적인 비즈니스 모델은 아래와 같다(참고로 서비스명 CoachGenie는 ChatGPT의 작품이다). AI 챗봇 기반 비대면 코칭 서비스앱, CoachGenie - 제품 개요 : 코치 역할을 하는 챗봇과 라이프 또는 비즈니스 주제로 코칭 대화를 채팅(또는 음성인식)으로 수행하는 앱 서비스 - 제품 특징 - 모바일 앱 내에 라이프 코칭 및..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은 '초기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링 프로세스' 중 3번에 관한 내용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비즈니스 모델 및 주요 가정을 명문화하는 과정에서 핵심 추정 방정식(시장, 핵심지표, 매출 등)과 수익모델 관련 핵심 구성 요소(가격, 비용, 판매량 등)에 관한 가정과 추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라고 보면 된다. Step 3 - 파이낸셜 모델 구조 디자인 파이낸셜 모델 구조를 디자인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초기 스타트업의 파이낸셜 모델링 구성요소를 하나하나 구체화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1) 목표 시장 규모 추정 우리 비즈니스 모델이 목표로 하는 시장 규모를 추정한다. 비즈니스가 지니고 있는 기회의 크기는 결국 목표 시장의 규모와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은 '초기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링 프로세스'의 시작으로 파이낸셜 모델링 목적 수립과 비즈니스 모델 및 주요 가정 명문활을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설명하겠다. Step 1 - 파이낸셜 모델링 목적 수립 일반적인 파이낸셜 모델링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1) 비즈니스의 가치 평가 : 특정 비즈니스(모델, 기업 등)가 지니고 있는 현재 가치 추정 2) 자본조달 계획 수립 : 금융기관, VC 등을 대상으로 자본을 조달하기에 앞서 얼마나 어떻게 필요한 지 추정 3) 비즈니스 성장 전략/계획 수립 : 비즈니스의 성장 전략과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성장에 기여하는 핵심 동인을 규정하고 얼마나 성장에 기여하는지 추정 4) 자산 또는 사업부 인수합병 타당성 검토 : 인수하고자 하는 (금융)자..


*본 포스팅은 초기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창업자 혹은 CSO를 대상으로 초기 스타트업 관점에서 효용이 있는 파이낸셜 모델링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했습니다.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파이낸셜 모델링'에 관한 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시는 분은 읽어주시고 작은 도움이라도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창업을 준비하거나 혹은 이제 막 제품을 시장에 출시해 고객과 시장을 검증하는 초기 창업자가 지니고 있는 취약점 중 하나는 바로 자신의 비즈니스가 목표로 하는 시장 기회 또는 자신의 비즈니스 모델이 원활하게 작동했을 때 어느 정도의 경제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를 논리적으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초기 창업자 대부분이 자신의 비즈니스 아이디어, 비즈니스 모델을 설명하면서 '왜 우리 제품이 필요한가'에 관한 가치제안은 제법 ..


해가 바뀌고 예비창업자 또는 초기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사업화 지원/투자 지원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나오면서 많은 초기 창업자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설득하기 위한 IR 자료를 만들고 업데이트하고 있다. 나 또한 주변의 몇몇 창업자들의 IR 자료를 다시 한번 살펴보면서 아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피드백을 주고 있는데, 대부분 IR 자료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바로 '시장 규모'다. 전체를 다 포괄할 수 없겠지만, 초기 스타트업의 IR 자료에서 나타나는 '시장(규모)'와 관련한 문제들을 범주화하면 아래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창업자가 제시한 시장 규모를 납득하기 어렵다. (투자를 받아가며 사업을 키우기에) 시장 규모가 너무 적다. 창업자가 정의한 시장 정의를 납득하기 어렵다. 물론 ..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의 경제적 타당성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 중 하나는 스타트업이 목표로 하는 시장(정확하게는 시장 기회)의 크기다. 스타트업의 시장 규모를 추정하는 다양한 프레임워크 중 가장 많이 알려져 있고 실제 많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는 단연 TAM-SAM-SOM 프레임워크일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AM-SAM-SOM 프레임워크를 올바르게 활용하여 시장을 정의하고 그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1. 프레임워크 소개 TAM-SAM-SOM 프레임워크는 스타트업이 목표로 하는 시장규모를 정의하는데 흔히 쓰이는 프레임워크로 대개 Total Available Market(TAM), Serviceable Available Market(SAM), Serviceable Obtainable ..


예비창업자나 초기 스타트업이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검증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대표적인 이슈 중 하나가 바로 '시장의 크기'다. 우리 비즈니스가 목표하는 시장의 크기는 투자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자를 설득하기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사실 창업자 본인이 '과연 이 비즈니스를 계속해야 하는가? 이 비즈니스가 전망이 밝은가?'와 같이 사업을 하면서 하루에도 몇 번씩 떠오르는 질문에 대한 답을 위해서도 목표하는 시장의 크기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문제는 스타트업 대부분이 전에 없던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창조하다 보니 무궁무진한 인터넷의 바다를 헤매도 딱 내가 원하는 시장 규모에 대한 자료를 찾기 힘들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창업자 스스로 시장 규모를 추정해야 하는데 대개 접근법이 우리 제품/서비스와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