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닛이코노믹스6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파이낸셜 모델링 - 4) 초기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 작성 실습 *본 포스팅은 초기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창업자 혹은 CSO를 대상으로 초기 스타트업 관점에서 효용이 있는 파이낸셜 모델링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했습니다.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파이낸셜 모델링'에 관한 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시는 분은 읽어주시고 작은 도움이라도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1.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링 이해 2. 파이낸셜 모델링을 위한 비즈니스 내러티브 정리 3.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파이낸셜 모델링 4. 초기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 작성 (스프레드시트 작성) 5. 초기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 활용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 가상의 비즈니스 모델을 대상으로 파이낸셜 모델 구조 디자인부터 실제 스프레드시트 작성까지 실습하는 과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파이낸셜 모델링에 대한 이해가 없는 일반적인.. 2023. 3. 29.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파이낸셜 모델링 - 3)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파이낸셜 모델링 *본 포스팅은 초기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창업자 혹은 CSO를 대상으로 초기 스타트업 관점에서 효용이 있는 파이낸셜 모델링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했습니다.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파이낸셜 모델링'에 관한 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시는 분은 읽어주시고 작은 도움이라도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1.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링 이해 2. 파이낸셜 모델링을 위한 비즈니스 내러티브 정리 3. 초기 스타트업을 위한 파이낸셜 모델링 4. 초기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 작성 (스프레드시트 작성) 5. 초기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 활용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은 '초기 스타트업 파이낸셜 모델링 프로세스' 중 3번에 관한 내용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비즈니스 모델 및 주요 가정을 명문화하는 과정에서 핵심 추정 방정식(시장, 핵.. 2022. 3. 15.
유닛 이코노믹스 (Unit Economics Analysis) 주로 '스타트업'이라고 불리는 신생기업의 특징, 특성에 대해 흔히 '빠른 성장'을 꼽는다. Y-Combinator 창업자 Paul Graham은 자신의 블로그에 'Startup = Growth'라는 제목의 글에서 스타트업은 빠르게 성장하도록 디자인된 기업이라고 강조했다(A startup is a company designed to grow fast).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이와 같이 '성장'과 '수익' 중 성장에 우선순위를 두기 때문에 특히 초기 스타트업의 경우 제대로 된 재무상태표가 없거나 재무상태표 상 매출과 이익지표가 형편없는 경우가 많다.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관점에서 단순히 매출과 이익지표만 보고 해당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기 힘들다. 당장 이익이 나지는 않지만, 해당 기업이 그리는 미래에 유의.. 2021. 2. 24.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ost Structure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비용구조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비용구조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는 데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 비용구조는 우리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전달하는데 소요되는 자원, 활동, 파트너십을 소유하고 수행하는데 들어가는 전체 비용이다. 기본적으로 비용은 적게 쓰면 적게 쓸수록 좋겠지만, 특히 낮은 비용구조가 중요한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 세계적인 경영구루 마이클 포터의 경쟁이론에 따르면, 자사의 경쟁우위를 기반으로 취할 수 있는 전략에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는데 바로 차별화(Differentiation) 전략, 원가우위(Cost Leadership) 전략, 그리고 집중.. 2020. 4. 15.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Revenue Stream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수익원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수익원은 기업이 각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창출하는 현금을 의미한다." 수익원은 우리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그 반대급부로 고객으로부터 받는 '돈'을 받는 원천에 대해 정리하는 블록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서 수익과 관련한 블록은 수익원(Revenue Streams)으로 이는 수익모델(Revenue Model),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과는 구분이 필요하다. 대개 자신들의 사업 아이템의 수익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수익원, 수익모델, 비즈니스 모델을 혼용해서 사용하는데 이 3개의 개념은 서로 약간씩 다르다. 결론부터 얘기하.. 2020. 4. 6.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hannel 비즈니스 모델을 진단하고 수립하는데 활용되는 여러가지 프레임워크 중에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굉장히 유용하다. 한 장의 캔버스에 있는 9가지 비즈니스 모델을 구성하는 빌딩블록을 채워나가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대략적인 구조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직관적이고 쉬운 프레임워크의 특성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꽤 평가절하를 받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진단/수립 툴킷이기도 하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보다 깊게 고민하여 진짜 답을 낸다면 처음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하는 입장에서 어떤 프레임워크보다 효과적이라는 생각에 본 포스팅을 시작으로 9가지 개별 블록에 대한 나만의 정의/생각/작성법 등을 정리하고자 한다. 내 생각의 변화나 추가 정보 .. 2020.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