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피칭덱


지금까지 잠재 투자자 설득을 목적으로 한 IR Material에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담아야 할 지에 대해 정리해 왔다. 앞서 4~6편의 플레이북 콘텐츠를 잘 숙지한다면 비즈니스에 관한 내러티브, 넘버 그리고 그 밖에 강조할 포인트를 담아서 훨씬 더 매력적인 IR Material을 만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Storytelling(Narrative) : 핵심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고객, 고객의 문제, 문제에 대한 해결책, 고객-제품 적합성, 제품-채널 적합성, 수익모델 등을 논리적으로 정리 Growth Modeling(Numbers) : 비즈니스 모델을 작동됨에 따라 만들어 낼 다양한 지표들을 식별하고 이 중 밸류에이션 목표 달성 및 비즈니스 성장의 핵심 동인이 되는 지표들을 하나의 방정식으로..


초기 창업자가 현재 라운드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투자유치 금액과 현재 우리 회사의 밸류, 그리고 5년 내 최소 10 배수 이상 회수를 위해 필요한 주요 지표와 그 목표치,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대략적인 계획이 섰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IR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한다. Pre Series ~ Series A 라운드에서 활용할 IR 사업계획서 분량에 대해서 정해진 바는 없지만 그래도 투자자가 궁금할 법한 내용을 핵심 키워드 중심으로 담는다고 해도 40~50페이지 내외 분량이 나오기 때문에 사전에 전반적인 골격을 잡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서 작성이 필요하다. 3번의 포스팅에 걸쳐서 우리 비즈니스 모델의 내러티브와 넘버 간 조화를 갖춘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해 아웃라인을 잡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며, 이번 포..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기 창업자가 액셀러레이터나 벤처캐피탈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투자유치 전략을 수립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멘탈 모델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과 의견을 두서없이 정리해보고자 한다. 모든 프레임워크와 방법론이 그렇듯 특히 투자유치 전략 수립과 관련해서는 주요 이해관계자 모두 각자의 관점과 신념에 따라 같은 사안과 다르게 보고 해석하는 만큼 정답이 있는 영역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포스팅의 내용 또한 100% 수용하기보다는 보는 분들이 동의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적절하게 내용을 취사선택하면 되겠다. 1. 왜 스타트업은 시작부터 IR 전략을 고민해야 하는가? 개인적으로 '스타트업(Startup)'을 준비하거나 이제 막 시작하는 초기 창업자는 제품을 기획하고 론칭하는 '시장진입 전략(Go to..


지난 포스팅에서는 초기 창업자가 어떻게 하면 올바르게 목표 시장과 그 규모를 정의하고 추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했다. 창업자의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판단하는 제삼자 입장에서는 초기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목표로 하는 시장이 매력적이라고 판단되면 그 다음으로는 그 시장 내에서의 실질적인 경쟁 상황과 그에 대한 초기 창업팀의 전략이 궁금할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기 창업자가 자신의 목표 시장 내 경쟁자를 올바르게 정의하고 구체적인 경쟁전략을 수립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초기 창업자를 위한 경쟁 전략 수립 접근법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장 진입 전략/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크게 3가지가 있다. ..


IR용 사업계획서 작성해야 하는데 어떤 내용을 어떻게 담아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다. 인터넷으로 검색해보면 IR 사업계획서 정의 및 대략적인 구성요소가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에 대해 읽는 사람은 어떤 내용을 기대하고, 그렇기 때문에 어떤 내용을 어떻게 담아야 하는지 구체적인 설명을 찾기는 힘들다. 물론 사업계획서라는 것이 목적이나 청중,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구조나 내용 구성이 천차만별이기는 하지만, 공통적으로 다뤄야 하는 요소에 대해 조금 더 심도 있게 정리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1. IR 사업계획서 이해 가장 먼저 개념을 정리할 내용은 IR 사업계획서의 종류와 그 목적에 대해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게는 흔히 IR 사업계획서라고 부르는 문서로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말 그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