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blemSolutionFit5

해결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제 정의하기 01. 스타트업 정의 : '스타트업이란 무엇인가?' 02. 스타트업 특성 : '스타트업의 5가지 특성 이해하기' 03. 창업자 마인드셋 : '초기 스타트업 창업자가 갖춰야 할 주요 마인드셋' 04. 스타트업 핵심 마일스톤 : '스타트업의 주요 여정 이해하기' 05. Problem-Solution Fit : '해결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제 정의하기' 06. 고객 문제 정의 멘탈모델 : '해결할 만한 고객 문제 탐색을 위한 3가지 렌즈' 07. 새로운 제품 기획 : '고객에게 전달할 매력적인 고객가치제안 디자인' 08. 핵심 가정 검증 : '고객과 시장을 검증하는 2가지 도구' 09. 비즈니스 모델링 : '초기 고객획득 계획 수립 및 성장 채널 정의' 10. 비즈니스 모델링 : '수익모델 디자인 및 프라이싱.. 2023. 6. 28.
스타트업의 주요 여정 이해하기 01. 스타트업 정의 : '스타트업이란 무엇인가?' 02. 스타트업 특성 : '스타트업의 5가지 특성 이해하기' 03. 창업자 마인드셋 : '초기 스타트업 창업자가 갖춰야 할 주요 마인드셋' 04. 스타트업 핵심 마일스톤 : '스타트업의 주요 여정 이해하기' 05. Problem-Solution Fit : '해결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제 정의하기' 06. 고객 문제 정의 멘탈모델 : '해결할 만한 고객 문제 탐색을 위한 3가지 렌즈' 07. 새로운 제품 기획 : '고객에게 전달할 매력적인 고객가치제안 디자인' 08. 핵심 가정 검증 : '고객과 시장을 검증하는 2가지 도구' 09. 비즈니스 모델링 : '초기 고객획득 계획 수립 및 성장 채널 정의' 10. 비즈니스 모델링 : '수익모델 디자인 및 프라이싱.. 2023. 6. 20.
문제-솔루션 적합성 (Problem-Solution Fit) 세상에는 다양한 스타트업 방법론이 많다. 수많은 스타트업 방법론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점이 우선 사용자(고객)이 사랑할 만한 제품/서비스를 구축(또는 구축할 수 있음)해야 한다는 점이다. 성장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거의 대부분 전략/전술이 '사용자가 진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랑하고 있다'를 전제한다. 사용자/고객이 진정 사랑하는 제품/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사용자의 문제 또는 니즈를 완벽하게 해결 또는 충족시켜줄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를 흔히 '문제-솔루션 적합성(Problem-Solution Fit)이라 부른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기 창업자가 가장 먼저 검증해야 하는 '문제-솔루션 적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프레임워크.. 2020. 9. 26.
PSF방법론 - 4) 초기 창업자의 주요 가설 검증 방법 앞서 수립한 비즈니스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인간의 상상력은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가설을 효과적/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수는 무한에 가까울 것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주로 쓰이는 검증된 방법들은 존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기 창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가설 검증 방법 중에 널리 쓰이는 5가지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 먼저 가설검증 방법을 선택하기 앞서 고려해야할 3가지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디. 1) 검증 방법/수단에 투입되는 리소스(돈, 시간, 노력(쉬움~어려움)와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의 중요성을 고려해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택한다. 설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있더라도 가설의 중요성에 비해 투입되는 시간, 돈, 노력이 크다면 일단 포기한다. 2) .. 2020. 9. 20.
PSF방법론 - 1) 초기 창업자의 가설 검증 전반 이해(배경, 주요 용어 정의 등) 린스프린트(가 아니라...) 린스타트업(Lean Startup). 누구에게는 이미 한물한 용어라고 치부할 것이고, 어떤 누구에게는 최근에 알게 돼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을 것이고, 또 다른 누구에게는 난생 처음 보는 개념일 수 있다. 이렇듯 '린스타트업'하면 떠오르는 심상은 사람마다 제각각이겠지만, 스타트업을 하겠다고 마음먹거나 혹은 스타트업 세상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을 갖게 된 사람이라면 대략적으로 어떤 의미인지는 이해해야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최소한도의 이해가 없다면 아예 말이 안 통할 수도 있다). 지금도 네이버, 구글에 '린스타트업'이라고 검색하면 린스타트업의 정의, 유래, 의의 등을 상세하게 서술한 양질의 글을 볼 수 있으니, 본 포스팅에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만약 린스타트업이라는 용어를 처음.. 2020.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