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8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Key Resource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핵심 자원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비즈니스를 원활히 진행하는 데 가장 필요한 중요한 자산을 의미한다" 핵심자원은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우리의 핵심역량(Core Competancy) 중 우리가 직접 보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원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가치제안(Value Proposition)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누면 우측은 고객에게 우리의 가치제안을 전달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일종의 '가치 창출 및 전달' 영역이고, 좌측은 가치 창출 및 전달에 필요한 자원, 활동, 파트너십과 같은 우리의 핵심 역량을 정의하고, 핵심 역량을 보유하고 운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구조에 대한 부.. 2020. 4. 10.
창업가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 7권 리스트 오랜만에 Medium에서 글을 읽다가 창업가 혹은 창업, 비즈니스, 자기계발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은 아티클을 읽고 소개하고자 합니다. 7 Great Business Books Every Entrepreneur Must Read https://entrepreneurshandbook.co/7-great-business-books-every-entrepreneur-must-read-5d49384bfaca 7 Great Business Books Every Entrepreneur Must Read Now is the ideal time to improve your skill-set entrepreneurshandbook.co 상기 링크에서 추천하는 7권의 책 모두 국내 번역서가 존재하는데요.. 2020. 4. 8.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Revenue Streams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수익원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수익원은 기업이 각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창출하는 현금을 의미한다." 수익원은 우리가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가치를 제공하고 그 반대급부로 고객으로부터 받는 '돈'을 받는 원천에 대해 정리하는 블록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서 수익과 관련한 블록은 수익원(Revenue Streams)으로 이는 수익모델(Revenue Model),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과는 구분이 필요하다. 대개 자신들의 사업 아이템의 수익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수익원, 수익모델, 비즈니스 모델을 혼용해서 사용하는데 이 3개의 개념은 서로 약간씩 다르다. 결론부터 얘기하.. 2020. 4. 6.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Value Proposition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가치제안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특정한 고객 세그먼트가 필요로 하는 가치를 창조하기 위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조합이 바로 '밸류 프로포지션'이다."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작성함에 있어 먼저 고객 세그먼트를 정의하고(기왕이면 고객 세그먼트 및 해당 고객 세그먼트가 지니고 있는 해결과제, 문제점/니즈 등도 같이 정의) 해당 고객 세그먼트에게 제공할 '가치'를 본 블록을 통해 정리한다. 이때 우리 상품(제품 및 서비스)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나 혜택을 단순히 정의하고 열거하는 수준으로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상품이 지니고 있는 기능/혜택이 우리 목표 고객 세그먼트에게 어떤 가치로 인식될 .. 2020. 4. 6.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ustomer Segment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고객 세그먼트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기업이 제각기 얼마나 상이한 유형의 사람들 혹은 조직을 겨낭하는지를 규정한다" 해당 블록은 우리가 목표로 하는 고객군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하는 블록으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작성의 첫 시작이자,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제공하는 상품(제품/서비스)가 고객에게 선택되고 사용/구매되기 위해서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혹은 간절히 원하는 무언가를 우리 상품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단순히 원하는 것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선택지 중에 가장 고객에게 어필돼야 한다. 그런 상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고객에 대한 이해가 .. 2020. 4. 3.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ustomer Relationship 1. 비즈니스 모델 블록 이해 도서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이하 책)'에서 정의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상 고객관계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특정한 고객 세그먼트와 어떤 형태의 관계를 맺을 것인가" 해당 블록은 우리가 목표로 하고 있는 고객(세그먼트)와 어떤 형태의 관계를 수립하고 싶은지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고객관계(Customer Relationship)은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관점에서 어떻게 고객을 확보하고 계속 유지하고, 우리 상품/브랜드의 열렬한 옹호자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다. 이 관점에서 해당 블록에 대해서 이해할 때 어떻게 고객에게 노출되고 홍보하고 쿠폰/적립금 등 도구를 활용해 고객.. 2020. 3. 27.
(Playbook)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Business Model Canvas) - Channel 비즈니스 모델을 진단하고 수립하는데 활용되는 여러가지 프레임워크 중에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굉장히 유용하다. 한 장의 캔버스에 있는 9가지 비즈니스 모델을 구성하는 빌딩블록을 채워나가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대략적인 구조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직관적이고 쉬운 프레임워크의 특성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꽤 평가절하를 받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 진단/수립 툴킷이기도 하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보다 깊게 고민하여 진짜 답을 낸다면 처음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하는 입장에서 어떤 프레임워크보다 효과적이라는 생각에 본 포스팅을 시작으로 9가지 개별 블록에 대한 나만의 정의/생각/작성법 등을 정리하고자 한다. 내 생각의 변화나 추가 정보 .. 2020. 3. 20.
<무엇을 놓친 걸까> 마케팅에 대한 관점 전환에 영감을 주다 '마케팅'을 한다고 하면, 고객의 심리를 나는 종종 인터넷 서점에서 출간한 신간 목록을 쭉 훑으며 뭔가 읽고 싶은 느낌이 드는 책을 구매한다. 이 책도 신간 코너를 훑는데 부제("사람 심리에만 집착하고 뇌과학 따위는 무시할 때 마케팅이 놓치는 것들)가 내 이목을 사로잡아서 구매하게 됐다. '(사람의) 마음이 아니라 뇌가 좋아하는 것을 포착하라.' '어떻게 하면 심리가 아니라 뇌과학에 근거하여 마케터가 원하는 방향으로 소비자들이 선택하게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의 충분한 답을 얻을 수 있겠다는 기대로 책을 읽었다. 미리 말하자면, 책의 초반부는 조금 지루할 수 있다. 특히 미디어 광고 관련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여러 가지 예시가 눈에 들어오지 않을 수 있다. 나 또한 초반부는 읽다 말다 읽다 .. 2020. 3. 19.
<울트라러닝> 공부하기는 매우 전략적 행위라는 것을 일깨워주다 '세계 0.1%가 지식을 얻는 비밀'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책의 부제다. 간만에 책표지만 보고 읽고 싶다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인상적이었다. 저자 스콧 영은 MIT에 입학하지 않고도 MIT 컴퓨터과학 학부 과정을 1년 만에 독파하고 이 과정을 정리해서 본인의 블로그에 올림으로써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이후 본인의 독학 철학을 정리하여 독학하는 사람들을 위한 콘텐츠를 정리하여 e-book으로 만들어 판매했으며 2019년 본인의 독학 노하우를 집대성한 을 아마존에 정식 출간했다. 필자는 저자의 책이 국내 번역출판되기 전에 뉴 칼포트의 이라는 책에서 울트라러닝을 인지했지만, 이때는 국내 번역본이 아직 출간되지 않아 관심을 잠시 접어뒀다(국내 한 언론사에서 스콧 영의 인터뷰 기사가 있었는데 거기까지만 읽었던.. 2020.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