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books for Frameworks/기타
앞서 수립한 비즈니스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인간의 상상력은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가설을 효과적/효율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수는 무한에 가까울 것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주로 쓰이는 검증된 방법들은 존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기 창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가설 검증 방법 중에 널리 쓰이는 5가지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 먼저 가설검증 방법을 선택하기 앞서 고려해야할 3가지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디. 1) 검증 방법/수단에 투입되는 리소스(돈, 시간, 노력(쉬움~어려움)와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의 중요성을 고려해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택한다. 설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있더라도 가설의 중요성에 비해 투입되는 시간, 돈, 노력이 크다면 일단 포기한다. 2) ..
앞서 포스팅에서 가설의 중요성과 어떤 비즈니스 가설이 올바르고 좋은 가설인지에 대해 정리했다. 그리고 도출된 가설 중에 검증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정리했다. 이제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제 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먼저 어떻게 가설을 검증할 것인가에 대한 실험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가설검증 계획 수립'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본 포스팅은 아래 주제 중심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1. 가설검증 활동 이해 2. 가설검증 계획 3요소 3. 가설검증 계획 수립 워크시트(Strategyzer의 Test Card) 4. 마무리 1. 가설검증 활동 이해 우리 비즈니스가 성공하는데 전제되는 주요 가정 중 중요하지만 가장 불확실한 부분부터 우리의..
앞서 포스팅해서 고객, 제품 또는 시장과 관련한 가설을 수립하고 검증하는 행위가 주요 스타트업 방법론에서 어떤 의미가 있었고, 가설 검증 활동과 관련한 주요 개념에 대해 정리했으며, 특히 초기 창업자는 어떤 가설에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봤다. 이제부터는 실제 문제-솔루션 적합성(Problem-Solution Fit) 검증과 관련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한다. 본 포스팅은 아래와 같은 주요 내용으로 구성했다. 1. '가설'의 정의 및 의의 2. 좋은 가설의 조건 3. 올바른 비즈니스 가설 수립 4. 가설의 검증 우선순위 설정 5. 마무리 1. '가설'의 정의 및 의의 가설과 가설 검증과 관련한 주요 용어에 대한 개념은 앞서 포스팅에 잘 정리했으니 참조하시기 바란다. https://acq..
린스프린트(가 아니라...) 린스타트업(Lean Startup). 누구에게는 이미 한물한 용어라고 치부할 것이고, 어떤 누구에게는 최근에 알게 돼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을 것이고, 또 다른 누구에게는 난생 처음 보는 개념일 수 있다. 이렇듯 '린스타트업'하면 떠오르는 심상은 사람마다 제각각이겠지만, 스타트업을 하겠다고 마음먹거나 혹은 스타트업 세상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을 갖게 된 사람이라면 대략적으로 어떤 의미인지는 이해해야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최소한도의 이해가 없다면 아예 말이 안 통할 수도 있다). 지금도 네이버, 구글에 '린스타트업'이라고 검색하면 린스타트업의 정의, 유래, 의의 등을 상세하게 서술한 양질의 글을 볼 수 있으니, 본 포스팅에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만약 린스타트업이라는 용어를 처음..